https://www.figma.com/file/qd8xvvpivCunuch3D8ZOSF/Mobile-Software-(Copy)?mode=dev
https://github.com/soo5o/MobileSoftware
시연 영상
https://drive.google.com/file/d/1tKfNHL1etw2-53iLUjN9gKgMXK6EUHtn/view?usp=drive_link
파트
내 파트: 회원 가입, 로그인, 회원 정보 수정, 로그아웃, 캘린더 파트
느낌 점
팀원들과 달리 API 를 활용해 보지 못했다는 점이 좀 아쉽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API 활용 파트를 맡아 개발을 해보고 싶다.
그리고 firebase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를 나만 하게 되어 내가 맡지 않은 파트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서비스, 랭킹 서비스 등)완성도가 낮게 구현이 되어 아쉬움이 남는다. 이 점에 대해서는 초반에 데이터 관리에 대한 불충분한 소통의 문제와 시간 부족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
학교 강의 중 진행된 프로젝트라 어플 개발에 있어서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었고 이에 firebase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에 대해 충분한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끝을 달려가면서 데이터 관리에 대한 공부를 하게 되었고, 프로젝트 기한과 맞춰 개발을 하고 있던 나는 firebase를 이용해 맡은 부분에서는 최대한 구현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구현에 어려움을 겪어 기한을 초과하며 개발하고 있던 팀원들은 firebase를 활용하지 못하고 결국 화면만 구현을 하고 개발을 마무리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비추어 나는 앞으로 프로젝트 진행 중 어떤 변수가 생길 지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개발 일정을 조금 타이트하게 잡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또한 개발 구현을 빨리 마치게 되어 팀원 분들의 의사를 물어 다른 팀원 분의 파트를 추가로 맡아 구현을 했었는데 그 덕분에 팀원 분은 메인 파트에 더 몰두해 구현을 할 수 있었다.
→ 사소하다고 생각되는 것들도 팀 프로젝트인 만큼 공유를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